2023년 윤정부가 내놓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간단하게만 알아보자. 자세한건 은행가자
1. 개요
간단히 말해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원씩 적금하는 것이다.
처음엔 10년간 1억을 모을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었지만, 매달 70만원식 5년간 최대 5천만원을 모으는것으로 변경됐다.
아무튼 매달 70만원씩 적금하는데, 정부가 좀 더 지원해줘 목돈을 만드는 개념이라 생각하자
2. 가입대상 및 조건
1. 나이 : 만 19세부터 ~ 만 34세 청년
2. 조건 :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 모두 충족하는 청년, 수익이 없으면 대상X, 외국인도 가입 가능
3. 가입기간 : 2023년 6월15일 ~ 2025년 12월 31일까지
4. 소득기준 :
가. 개인소득 조건
개인 소득 조건 (직전년도 기준) |
||
급여액 | 종합소득금액 | 정부기여금 |
7,500만원이하 | 6,300만원 | 미지급 |
6,000만원이하 | 4,800만원 | 지급가능 |
나. 가구소득 조건
- 가입일 현재 가구원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이다.
가구소득 요건 | ||||
구분 | 2021년 | 2022년 | ||
기준 중위소득 | 180% | 기준 중위소득 | 180% | |
1인가구 | 1,827,831원 | 3,290,095원 | 1,944,812원 | 3,500,661원 |
2인가구 | 3,088,079원 | 5,558,542원 | 3,260,085원 | 5,868,153원 |
3인가구 | 3,983,950원 | 7,171,110원 | 4,194,701원 | 7,550,461원 |
4인가구 | 4,876,290원 | 8,777,322원 | 5,121,080원 | 9,217,944원 |
5인가구 | 5,757,373원 | 10,363,271원 | 6,024,515원 | 10,844,127원 |
6인가구 | 6,628,603원 | 11,931,485원 | 6,907,004원 | 12,432,607원 |
7인가구 | 7,497,198원 | 13,494,956원 | 7,780,592원 | 14,005,065원 |
+8인가구 | +868,595원/1인 | +1,563,471원/1인 | +873,588원/1인 | +1,572,458/1인 |
3 . 정부기여금
개인 소득 요건과 종합소득금액 범위에 해당하는 자에게만 가입조건이 해당된다. 또한 개인소득요건과 종합소득금액 범위에 따라 정부기여금의 정도가 결정된다. 확인해보자
구간 | 개인소득구간 (총급여 기준) |
개인소득구간 (종합/사업소득 기준) |
정부기여금 산정기준금액 |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
1 | 2,400만원 이하 | 1,600만원 이하 | 월 납입원금과 40만원 중같거나 적은금액 |
정부기여금 산정기준금액의 6.0% |
2 |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
1,600만원 초과 2,600만원 이하 |
월 납입원금과 50만원 중같거나 적은금액 |
정부기여금 산정기준금액의 4.6% |
3 |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
2,6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
월 납입원금과 60만원 중같거나 적은금액 |
정부기여금 산정기준금액의 3.7% |
4 |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 |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
월 납입원금과 70만원 중같거나 적은금액 |
정부기여금 산정기준금액의 3.0% |
5 | 6,000만원 초과 | 4,800만원 초과 | 미지급 | 미지급 |
4. 효과
시중은행에 가입 기본금리 4.5%, 최대우대금리 적용, 월 70만원씩 적금해 만기까지 유지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 | 납입액 | 정부기여금 | 납입금액 이자 | 기여금 이자 | 총 수령액 | 혜택 금액 |
2,400만원 이하 | 4,200만원 | 144만원 | 640만원 | 16만원 | 5,000만원 | 800만원 |
3,600만원 이하 | 138만원 | 587만원 | 15만원 | 4,938만원 | 738만원 | |
4,800만원 이하 | 132만원 | 14만원 | 4,931만원 | 731만원 | ||
6,000만원 이하 | 126만원 | 13만원 | 4,924만원 | 724만원 | ||
7,500만원 이하 | - | - | 4,787만원 | 587만원 |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다.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효과를 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어렵다.
총급여 기준 | 월 납입액 | 총 납입액 | 총 정부기여금 | 납입금액 이자 | 기여금 이자 | 총 수령액 | 혜택 금액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2,400만원 | 144만원 | 366만원 | 15만원 | 2,925만원 | 525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3,000만원 | 138만원 | 419만원 | 15만원 | 3,572만원 | 572만원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600만원 | 132만원 | 503만원 | 14만원 | 4,249만원 | 649만원 |
시중은행과 일반 적금 상품과 비교해봤을때, 6~10%가까이 모든 구간에서 혜택을 받을 수있다.
5. 대표적 한계(내생각)
가입기간이 너무 길다. 5년동안 월 70만원씩 유지해야한다. 현실성이없다. 1년 적금하는것도 쉽지않은거 누구나 다 잘 알고있을 것이다. 요즘같이 주식, 부동산, 코인 등 투자상품이 넘쳐나는 때에 5년이라는 기간동안 돈을 묶어두는것은 쉽지가 않다.
돈을 모으는 이유도, 내집마련이 큰 목적이 된 청년들에게 5년뒤에 10%의 이득으로 집값의 상승을 따라갈수 있을지도 만무하다.
물론 차곡차곡 적금을 하는것이 내자산 늘리기의 시작이라고 하지만, 5년이라는 큰 기간이 대중들의 선택을 받는데 실패원인이지 않을까 싶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알아보자!(Msafer) (0) | 2023.09.10 |
---|---|
알뜰 교통카드를 신청해보자 (0) | 2023.08.30 |
면접비 최대 30만원받자!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0) | 2023.08.23 |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하기 (1) | 2023.08.15 |
2023년 청년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8.07 |